사전에 이 영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지 않은 상태로 영화를 보기 시작했다.  매우 평이 좋은 영화라는 정도는 알았기에 볼 마음이 생긴 것.

처음에는 평화로운 자연과 행복해 보이는 평범한 가족이 보여 뭔가 힐링하는 내용인가 했다. 처음에는...

다만 쨍한 색감은 좋아보였으나 그럼에도 일부러 어둡게 조정한건 이 영화가 호러물인가라는 생각이 들 무렵.

인간을 태우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구조를 설계하는 미친놈들인데 무슨 사업 설명하듯이 이야기 한다.

이것들이 사람들인가 싶었다. 이 영화는 힐링을 위한 영화는 분명 아니다. 그렇다고 치유물도 아니고. 

저 동네는 '아우슈비츠'였다.

영화는 시종일관 저 벽 너머는 보여주지 않는다. 다만 평화로운 일상의 정원과 주택에서 바라보는 관점만 제시하고. 그리고 무슨 이유인지 모를(물론 우리는 알지만) 굴뚝에서 나오는 시커먼 연기들만 보여준다. 더불어 저 멀리 어디선가 계속 들려오는 총성과 비명 같은 어떤 소음들. 영화 내내 줄곧 깔리는 배경 소음 같은 것이지만, 역시 이를 화면으로 지켜보는 우리는 무엇인지 알지만, 스크린 속의 그들은 무감각 것인지 상관하지 않고 그들의 삶을 누리며 살아간다.

소장이 평화롭게 낚시를 즐기는데 상류로부터 뭔가가 내려온다.
역시 우리는 저 뿌연 것이 무엇인지 안다. 그리고 저 소장은 화들짝 놀란다. 그리고...
그리고 지 새끼들은 걱정되는지 물놀이하는 자식들을 그 무언가로부터 피하도록 하는 눈물겨운 부정(父情).

그렇지. 모를 리 없고 다 알고 있다. 심지어 수용소장의 아내는 폴란드인 하녀에게 일 똑바로 안하면 쥐도 새도 모르게 벽 너머 저들처럼 재로 만들어 버릴 수 있다고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한다. 아이들도 다 알고 있다. 그냥 모르는 척할 뿐이고 그냥 그게 당연한 것이고 일상인 것처럼 살아가고 있다. 관심의 영역 밖이 되어버린 것이지. 사람이 죽고 특히 그중에는 아이들 본인들과 같은 나이의 소년, 소녀, 아기들이 있었는데도 말이다. 그냥 풀장 만들어놓고 즐겁게 일광욕하며 한가로이 살아가고 있다. 소장 부인이라는 것은 심지어 소장인 남편이 전출가게 되지만 그간 그들이 꾸려놓은 주택이며 정원 등이 아쉬워 남겠다고까지 한다. 불과 몇 미터 벽 너머의 세게는 전혀 그들의 관심 밖이다.

그제야 제목이 이해가 됐다. 그리고 우리는 그 소장 역할의 또 다른 실재 인물도 안다.

아돌프 아이히만.

 

아돌프 아이히만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토 아돌프 아이히만[a](독일어: Otto Adolf Eichmann, 독일어 발음: [ˈɔtoː ˈʔaːdɔlf ˈʔaɪçman]; 1906년 3월 19일 ~ 1962년 6월 1일[b])은 독일인이자 오스트리아인으로,

ko.wikipedia.org

처음엔 이 인간인가 했더니 영화 속 인물은 다른 인간이며 배역 이름과 같다.

'악의 평범성'이라는 문구를 세상에 소개한 '한나 아렌트'가 아이히만에 대해 저술한 책도 있었고, 또 그와 관련한 영화도 있었다. 그래, 그럴 수도 있었겠다는 피상적인 이해를 넘어서 'Zone of Interest'는 그들만의 평화로운 일상의 모습을 그들의 어깨 너머로 체험 아닌 체험을 하며 대체 그 악마 같은 저들은 뭐였던가라는 물음에 답해주는 것 같다.

그런데 말이다. 저들의 이야기는 21세기 현재도 계속 되고 있으니 마음이 복잡하다. 특히 그 당시 피해 당사자였던 이스라엘 유대인들이 지금 가자 지구에서 벌이고 있는 짓들을 보자면 과연 절대악이라는 말은 사치고 우리 모두가 원래 악마가 아닌가 싶은 생각마저 든다. 멀리 갈 것도 없이 2025년 우리 대한민국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일들도 마찬가지다. 한 술 더 떠 태평양 건너 천조국이라 불리는 그 동네도 마찬가지. 당장 나의 삶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 같아서 안심인가? 다음 세대인 나의 자녀들 그리고 그 이후의 사람들을 생각해 보면 마음이 조급해지기도 한다. 무엇을 해야, 아니면 어디서부터 뜯어고쳐야 제대로 된 세상이 될까? 아니 그 제대로 된 삶이라는 건 대체 뭔가라는 근원적인 질문까지도 해보지만 범인이 뭘 알 수 있나라는 자조만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대단한 가해자였던 독일인들은 전후에 큰 시련은 겪었다. 그럼에도 그들의 조상이 벌여놓은 짓들로도 벌어먹을 게 있는 게 보이는 것 같아서 참 아이러니 하다. 수용소를 보존하고 박물관으로, 그리고 그걸 유지하고 관리하면서 소득도 챙기고. 참 잘 되는 동네는 뭘 해도 잘 되는 것 같아서 말이다. 내 시각이 너무 비뚤어져만 가는 것 같아서 뒷맛이 씁슬하네...

독일인들답게 군더더기 없이 요란하지 않게 보존 관리는 참 잘한다. 그리고 일자리 창출도 하고...

 

길고 빛나는 강 - 10점
리즈 무어 지음, 이나경 옮김/황금시간

 


미국 사회의 어두운 이면을 담은 범죄 스릴러

여러 범죄 스릴러를 읽어봤지만, 여성의 시각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는 많지 않았던 것 같다. 특히 마약을 중심 소재로 한 작품에서는 더욱 그렇다. 대부분의 경우 여성은 피해자이거나 범죄의 굴레에 갇힌 인물로 그려지고, 이를 해결하는 역할은 남성 형사, 경찰, 또는 탐정이 맡기 마련이었다.

이번에 읽은 책은 현재 미국에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펜타닐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특히, 미국 내에서도 마약 문제가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꼽히는 필라델피아, 켄싱턴을 배경으로 한다. 참고로, 이 지역의 실상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영상을 함께 소개한다. (참고 영상)

이 책은 오바마 전 대통령이 추천한 작품으로도 화제가 되었다. 단순히 재미만을 이유로 추천한 것은 아닐 것이다. 책을 읽다 보면, 현재 미국 사회가 직면한 수많은 문제가 한데 얽혀 있음을 느낀다. 마약, 매춘, 폭력, 가정의 해체, 교육시스템의 붕괴그리고 경찰 조직 내 부정부패까지—이 모든 요소가 미국 사회의 내부적 부패와 붕괴를 상징하는 듯했다.

읽는 내내 들었던 생각은 “미국에도 더 이상 어른이 없다”는 것이었다. 어른이 없다는 표현보다는, 어른들조차 생존하기 바빠 다음 세대를 돌볼 여력이 없는 현실이라고 해야 할까. 그런 상황에서 마약, 이혼, 폭력, 그리고 부정부패가 서로 뒤엉켜 사회를 더욱 깊이 병들게 만든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결국 정치인들의 몫이겠지만, 시민들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해 오바마 전 대통령이 이 책을 추천했을지도 모르겠다.

소설은 후반부로 갈수록 희망과 절망을 오가며 반전의 연속을 보여준다. 하지만 결국 범죄 스릴러가 주는 카타르시스를 위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수렴해 나간다. 다만, 주인공이 겪는 다양한 감정과 심리적 변화가 너무나도 생생하게 그려져 있어, “작가가 직접 경험한 이야기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정작 저자는 유복한 환경에서 자라 명문대를 졸업하고 집필 활동을 이어온 인물인데, 어떻게 이렇게 결핍된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의 심리를 깊이 있게 묘사할 수 있었을까?

그렇기에 이 책은 더욱 뛰어나다. 서술 방식은 단순하면서도 기존의 범죄 소설과 차별화되어 있으며, 덕분에 읽기 쉽고 몰입하기 좋은 작품이었다.

 

 

https://www.imdb.com/video/vi944621081/?ref_=ext_shr_lnk

처음에는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같은 영화인줄 알았다. 그러면서 이런데 어떻게 아카데미가 상을 줬나 싶었다. 대체 뭔가 싶었는데 역시 거장의 작품은 일반인의 머리로 짐작할 수 있는 게 아니다.

 

▶️ Anora - Official Trailer 2

Watch Trailer | 1:53

www.imdb.com

 

이하는 chatGPT가 뉴욕타임즈의 기사를 요약해 준 내용인데 잘 정리한 것 같다.


🎬 영화 『아노라』의 개요

 

션 베이커(Sean Baker) 감독의 신작 영화 『아노라』는 전형적인 할리우드 클리셰를 새롭게 해석해 진정한 의미의 ‘스타 탄생’을 증명하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Palme d’Or)을 수상하며 그 작품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영화는 뉴욕 맨해튼에서 스트리퍼 겸 에스코트로 일하는 아노라(애칭 애니)를 주인공으로 합니다. 러시아계 부유한 청년 이반(애칭 바냐)을 만나 펼쳐지는 사랑, 코미디, 비극이 섞인 이야기를 다룹니다.

 


🎬 영화의 핵심 포인트 분석

 

① 스타 탄생의 순간: 마이키 매디슨(Mikey Madison)

 마이키 매디슨은 이미 쿠엔틴 타란티노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등 여러 작품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줬지만, 「아노라」에서 그녀는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연기를 선보입니다.

 그녀는 이번 영화에서 로맨스, 희극적 슬랩스틱, 심오한 내면 연기뿐 아니라 춤과 액션까지 다양한 연기 스펙트럼을 성공적으로 소화하며 관객을 압도합니다.

 

② 감독 션 베이커(Sean Baker)의 진일보

 『플로리다 프로젝트』 등 사회 변두리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뤄왔던 션 베이커 감독은 『아노라』를 통해 더 성숙하고 세련된 연출력을 보여줍니다.

 그의 영화는 늘 소외된 계층의 삶을 묘사했지만, 『아노라』는 특히 현대판 『귀여운 여인(Pretty Woman)』과 같은 로맨스 요소를 가미해 더 대중적이고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 영화의 구성 및 줄거리 특징

 

『아노라』는 총 3막 구조로 나뉘어 있으며 각 막마다 뚜렷하게 다른 장르의 성격을 갖추고 있습니다.

 1막: 동화적 로맨스

아노라(Ani)가 뉴욕에서 러시아계 부유한 클라이언트 바냐(이반)를 만나 관계가 발전하며 낭만적인 요소가 강조됩니다.

 2막: 긴장감 넘치는 스크루볼 코미디

두 주인공의 관계가 깊어지면서 뉴욕 브루클린 지역을 배경으로 빠르게 전개되는 소동과 혼란스러운 사건들이 펼쳐집니다. 실제 뉴욕의 겨울을 무대로 독특한 분위기를 표현합니다.

 3막: 현실적이고 비극적 전환

마지막 막에서는 다시 진지하고 깊이 있는 분위기로 돌아와 인간적이고 심리적인 갈등을 다룹니다. 로맨스와 현실 사이의 간극을 비극적이면서도 감성적으로 그려냅니다.

 

이 세 장르의 전환이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이어지면서 관객에게 강렬한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 영화가 주는 메시지와 사회적 통찰

 

영화는 얼핏 보기엔 화려한 슈퍼리치의 세계와 자극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미국 사회의 불평등과 ‘아메리칸 드림’의 한계를 지적합니다.

 특히 주인공 아노라를 통해 돈에 의해 평가받고 이용당하는 삶에 익숙한 여성이 처음으로 진정한 관심과 ‘인정받는 경험’을 하는 모습을 통해, 인간 본연의 존재감을 탐구합니다.

 화려하고 자극적인 소재 뒤편에 숨겨진 인물들의 내면을 섬세하게 포착해 인간의 내면을 관찰하는 영화적 깊이가 돋보입니다.

 


🎞️ 종합적인 평가 및 전망

 

『아노라』는 단지 화려한 로맨스 영화가 아니라 사회적 편견과 인간성을 탐구하는 섬세한 현대적 우화입니다. 감독 션 베이커의 진일보한 연출력과 마이키 매디슨의 압도적인 연기력이 돋보이며, 관객에게 기존 슈퍼스타 영화 이상의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이 영화는 단순히 한 배우나 감독의 스타 탄생을 알리는 작품을 넘어서, 미국 사회의 복잡한 현실과 꿈의 경계를 심도 있게 묘사하는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상! 분석 끝.

올해 본 영화 중에 가장 강렬한 영상을(?) 제공했다. 그래서 가족이랑 같이 가서 보라는 또는 같은 공간에서 보라는 이야기는 차마 못하겠다만 여하튼 영화는 중반 이후 넘어가면서 플로리다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생각을 하게 된다.

러시아와 아르메니아를 들먹이며 개네 나라는 여전히 신분, 계급 사회를 미개하다 하는 것 같으나, 하긴 요즘 미국애들 정서가 그러하긴 한데 그런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은 당연히 아닐 거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점점 강화되는 아나 이미 그 한계를 넘어서버린 것 같은 양극화 또는 부의 극집중으로 인해 이제는 신데렐라나 개천에 용 나는 그런 세상은 없다고 하는 것인지. 그래서 보이지만 넘을 수 없는 유리천장 같은 사회에서 천한 니들끼리 행복(?)하게 살아라는 명령 아닌 명령인 것인지.

한 여름밤의 꿈같은 며칠을 보낸 여주를 통해 그나마 맛만 봐라는 것 같은 느낌. 당연히 션 베이커 감독이 그분들의 입장에서 만든 영화는 당연히 아닐 터이니 그런 느낌을 되새기다 보면 마음속이 쓰려진 안타까움만 더해짐. 대체 세상이 어디로 가는 것인가.

카페나 사람 많은 곳 가면 일부러 헤드폰을 쓴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럴 수가 없다.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정겨운 억양 때문이다. 귀를 쫑긋하고 귀기울이게 된다. 내용이 뭐든간에.

여기를 떠나지 않고 계속 살았다면 나도 저 무리들 가운데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어쩌면 그랬기 때문에 저런 모습들, 소리들에 의미 부여가 되는 것도 있겠지만.

물론 그런 것을 모르고 그냥 살아갈 수 있는게 더 행복하고 좋은 것이겠다.

송정역 시장인데 과거에는 늘 북적이던 곳이었던 기억
예전에 광산구의 메인스트리트였지만, 이제는 구도심의 한 이면도로일 뿐.
에전 살던 집을 멀리서 땡겨 봄. 월래 주변이 논밭이었던 곳인데 상전벽해
낮에 가본 송정역시장 반대편 입구. 거리의 윤곽은 예전 그대로. 물론 입구에 저런 간판은 있지도 않았지만.
이 광경을 보고 싶어서 간 것 아닐까
예전에는 그냥 돌산이라 불리웠던 곳인데 이제는 송정공원이라고
이런 골목길이 내 등굣길, 기억을 찾아 한참을 헤매면서 찾아낸 길.

 

https://github.com/vhanla/winxcorners?tab=readme-ov-file

 

GitHub - vhanla/winxcorners: Hot corners for Windows 10 & 11

Hot corners for Windows 10 & 11. Contribute to vhanla/winxcorn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상단 링크로 깃허브 접속 후에 아래 캡처한 것처럼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한 파일은 압축을 해제한 후 다음과 같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실행하면 윈도우에서 인증되지 않은 프로그램이네 어쩌네 할 텐데 그거 실행하는 걸로 하시면 트레이에 등록됩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제 경우는 저렇게 설정하고 사용합니다. 

즉 마우스를 우측 하단 모서리로 이동하면 전체 화면이 뜨게 되는 거죠.

맥처럼 부드럽지는 않아도 기능을 활용할 수 있어서 그간 불편함에서 해방되니 너무 좋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