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술이 보편화되기 전까지 사람들의 신앙은 생활 속에서 겪는 많은 일들을 통해 내면의 독백과 되새김을 거쳐 자라나고 이것을 공동체와의 나눔을 통해 성장했다. 하루하루의 삶속에 지쳐있는 사람들에게 신앙의 세계에 접촉할 수 있는 기회는 일주일에 딱 한 번의 예배였을 것이다. 그나마도 설교자 옆에서 또렷이 말씀을 들어보는 것은 감히 꿈에도 꿔볼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많은 위대한 신앙의 선배들은 그런 상황 속에서도 믿음의 길을 걸었고 현대인들이 바라는 그런 성스러운 삶을 살았다. 요즘처럼 수많은 설교자의 주옥같은 말씀, 깊은 신앙의 세계로 안내할 책들을 전혀 접할 수 없었음에도 현대인에게 귀감과 도전이 되는 그들의 신앙은 어떻게 자라난 것일까?

믿음은 들음에서 나는 것이다라는 성경말씀처럼 들음에 있어서는 요즘과 비할 바 없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시기에 과연 어디서 들음을 얻을 수 있던 것일까?

반면 정보화시대 속 현대인은 평생 들어도 남아도는 수많은 설교와 신앙서적 속에 있다. 매 주일도 모자라 수요일, 금요일, 심지어 매일의 새벽예배. 주일 또한 한번의 예배가 아닌 시간대별로 쪼개 여러 예배가 있어 거의 매시간마다 주께 드리는 예배가 열리고 있다.

이러한 풍요함 가운데서 신자들의 믿음은 들음의 기회가 늘어남에 따라 같이 성장했을까? 이러한 의문을 가지는 것이 회의적인 것으로 여겨지겠지만 그럼에도 그 차이는 무엇인가 궁금해진다.

최근에 읽은 '생각하지 않은 사람들'이라는 책에서 17세기 이후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에 힘입어 증가한 인쇄물이 인류에게 끼치는 영향을 보면 삶은 풍요로워지는 반면 점점 정신세계는 이전보다 되려 후퇴한 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보여준다.

그래서 요즘 많은 사상가들은 인류 역사상 모든 면에서 가장 풍족한 이 시기가 인류가 퇴보하는 분기점이 아닌가라는 역설적인 평도 한다.

신앙의 세계도 마찬가지여서 말씀은 넘쳐나고 아멘의 소리는 전세계의 교회마다 커져만 가지만 정작 본질은 없고 껍데기만 남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현실화되는 것 같다. 우리나라만 봐도 불과 십수년전까지만 해도 교회는 사회를 받쳐주는 든든한 반석같았지만 지금은 기둥은 낡고 낡아 뭔가로 대체되어야 할 것 같은 위기 상황에 있다. 우리만의 문제는 아닌 것은 앞서 말한 내면은 텅 비어가는 인류의 현재 상황과 맞물려 전 세계적인 현상인 듯도 하다.

나의 생각은 없고 정리되지 않고, 쌓여있지도 않고, 되새김할 것이 없어 결국 말씀은 넘쳐나나 속에서 수용하지 못해 그냥 배설되어 버리는 것이다. 대체 이러한 상황은 어떻게 개선될 수 있을까? 생각없는 사람들을 다시 생각하는 존재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할까?



그냥 홈페이지만 캡처해 봤습니다.







비록 신자도 아니었고 게다가 서로 견해(사학법...)를 달리했다는 것도 압니다. 그리고 그렇게 고상하게 보이지도 않았던 것 같습니다. 주류도 아니었고 대학도 안나왔고..

그렇지만 한때 이나라의 가장 어른이었던 대통령입니다. 최소한 그를 기억해주는 한마디라도 해주면 안되는 것일까요?

저도 교인이고 하나님의 골수팬입니다. 위 홈피 중 몇곳은 제가 몸담았던 곳이기도 합니다. 현재 활동 중인 곳도 있구요. 그렇지만 그 어느곳도 그분을 추모해주는 곳은 없었습니다. 자살이라서 그런 것일까요? 아니면 홈페이지마저도 성전이라 여기는 것인지요? 그나마 삼일교회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그분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더불어 짤막하게라도 목사님의 느낌을 적어놓은 곳이 있기라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 나라, 노무현이라는 사람과 함께 이 땅에 거했던 교회 그 어느곳에서도 그의 흔적을 찾기란 너무 어렵군요. 너무 안타깝습니다. 지금 웹페이지 어느 곳을 가더라도 추모의 분위기는, 설령 그것이 마지못해서라도 전국을 덮고 있습니다.

지금껏 못마땅한 사람이었더라도 가는 길이나마 사랑의 마음으로 덮어주는 자세가 필요한 때가 아닌가 합니다.


초대교회의 교회는 말 그대로 모임공동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바울이 고린도 교회를 지칭할 때는 지역적으로는 고린도가 맞지만 그 지역에 위치한 어떤 특정 건물을 지칭하는 바는 아니다. 물론 교인들이 모이는 일정한 장소가 있겠지만, 그렇더라도 바울이 고린도 교회라고 이야기할땐 분명 그곳에 모이는 공동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것은 마피아나 삼합회 등등의 유명조직(왜 하필?^^;)을 지칭할 때 떠오르는 이미지와 같을 것이다. 마피아라고 하면 그들이 하는 행동들, 모임의 성격들이 생각나는 것이지, 거주하는 또는 활동하는 공간적인 구조물을 연상하지는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물론 나는 마피아 건물이 어디 있는지는 알지도 못한다^^;). 삼성하면 삼성의 인물들이나 하는 일이 생각나는 것또한 같은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우리가 다니는 교회는 정반대이다. 예를 들어 순*****교회, 온**교회, 소*교회, 광*교회. 교회이름만 들어도 당장 교회의 건물 이미지부터 떠올라진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건물의 규모와 화려함 등의 떠오르면서 그 교회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정작 그 안에 있는 이들의 활동과 그 교회가 가지고 있는 진실한 가치들은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외형적 화려함만을 보면서 새로운 사람들이 모여들게 된다. 점점 내부또한 공허함으로 채워지게 된다. 

언제부터 이렇게 됐을까? 유럽의 거대하고 아름다웠던 그 건물들에 이제는 관광객만 왔다갔다 한다. 외형적 가치만을 추구하다 얻게된 결과물일까?

그렇지만 최근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경향을 거스르면서 내적추구를 도모하는 교회들이 점점 많아지는 것 같다. 상가를 임대한 후 교회가 커져감에도 굳이 건물을 신축해서 확장하지 않고, 오히려 늘어난 경제력으로 어려운 지역사회와 고난을 겪는 세계인을 돕는 교회가 늘고 있다. 참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예수님이 명하신대로, 바울이 사역중에 만났던 교회들이 그런 교회들 아니었을까? 교회가 외형만으로 기억되고 평가된다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초등학교 때였던가, 아침과 저녁 집에 있을 때면 늘 어머니는 라디오를 cbs에 맞춰놓으셨다.

여러 목사님의 설교, 간증, 라디오 드라마 등이 줄곧 나왔다.

그런데 간간이 이런 내용들이 들리곤 했다.

민주화탄압으로 cbs가 억압받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때는 무슨 말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그래도 교회는 세상의 부정과 비리에 맞서고 있구나라는 막연한 느낌이 있었다.

그런데 요즘은 상황이 변했다.

그걸 말하기 이전에 보통 우리네 사회에서 보수적이라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물론 내 개인적 견해이긴 하다.

먼저 떠오르는 것이 유교적인 것 그다음으로 전통적인 것을 따르는 것, 남성우월주의적인 것, 가부장적 등등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지 백년이 조금 넘어가지만 그 기간 대부분 동안 기독교, 특히 신교로 대표되는 교회는 이런 관점과는 대립되는 상황을 보여왔다. 그래서 여러가정에서 교회나가는 가족, 며느리를 박대하고 억압했다. 기존의 불합리하게 보이는 불의에 대해 정의를 논하기도 해서 핍박을 받기도 했다.

그래서 기독교는 보수적인것과는 거리가 당연히 있어보였다. 아니 분명 궤를 달리 하고 있었다.

그런데 요즘은 어떤가?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를 마치 보수주의의 우두머리, 선봉장 정도로 여기는 것 같다.

하지만 교회가 특별히 바뀐 게 있나? 여전히 유교적이지 않고, 전통적인 것 대로 하지는 않고(제사 문제), 여성우월주의는 아니라 하더라도 압도적인 여성신자의 비율, 가부장제 해체의 선도적 역할(YWCA) 등등 기존의 보수적인과는 분명 다른 길을 걷고 있는 것은 확실한데 말이지.

아무튼 뉴라이트, 기성대형교회 목사님의 정치적 발언, 모후보의 종교적 선언 등은 자칭 자신들을 진보적이다라고 여기는(아니 중도적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에게도) 사람들에게는 보수적이다라고 여겨지는 모양이다.

보수적인 것과 보수주의적인 것은 다른 것인가?

현 시대에는 무엇이 보수를 가르는 기준이 되는 것일까?

+ Recent posts